근골겨계 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목, 어깨, 허리, 팔 · 다리의 신경 ·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요통(Low Back Pain), 수근관증후군 (Carpal Tunnul Syndrome), 거북목증후군 (Forward Head Posture), 근막통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건염 (Tendinitis)등이 있습니다. (안전보건규칙 제656조 제2호)
이러한 질환의 주요 요인 3가지를 알아보고 예방할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하려합니다.
1. 반복동장
2. 부자연수런 자세
3. 과도한 힘의 사용
4. 예방방법
1. 반복 동작
같은 근육, 건, 관절 등을 사용하여 동일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반복동작으로 인해 누적된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적절한 휴식시간이 없을 경우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니다. 동일한 동작은 동작이 같을 필요는 없으나, 해당 동작들이 같은 근육군(筋肉群)을 사용하여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함니다.
1-1. 반복동작의 유형: 수동포장, 수공구 사용, 바닥 청소시 걸래 사용, 키보드 사용, 카트정리, 물건적재
1-2. 반복 동작 시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을 가중 시키는 요인
■ 수행하는 동작의 다양성과 속도(the number or speed of actions)가 증가될수록
■ 더 힘든 동작을 수행할 때(the muscles to exert higher levels of force)
■ 동작이 중립자세에서 벗어날수록(the joints to move farther away from neutral position)
■ 충분한 휴식 없이 동작 수행 시간이 길어질수록(few breaks or chances for rest)
※ 힘을 적게 쓰고, 자세가 나쁘지 않더라도 반복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통증과 불편함은 발생할 수 있음
2. 부자연스런 자세
좋은 자세(good posture)는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동작 범위 중 중간쯤에 가까운 경우를 말하고, 이를 “중립자세(neutral posture)"라 부름니다. 중립자세일 경우보다 부자연스런 자세는 관절 주변 조직인 근육, 건, 인대에 더 부담을 주게 되고,이런 부자연스런 자세가 오래 지속될 때 작업자는 통증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를 부자연스런 자세라 합니다.
2-1. 신체 부위별 부자연 스런 자세 작업 유형
- 어깨: 어깨 위로 손/팔 들기, 몸통뒤로 손/팔 뻗기, 몸통 옆으로 손/팔 벌리기
- 허리: 앞으로 굽히기, 뒤로 젖히기, 옆으로 굽히기, 비틀기
- 목: 아래로 굽히기, 뒤로 젖히기, 옆으로 굽히기, 비틀기
- 손목: 위로/아래로 굽히기, 왼쪽/오른쪽으로 굽히기, 손바닥을 아래오 향하기, 손바닥을 위로 향하기
- 손가락: 좁게 집기, 넓게 잡기
- 무릅: 바닥에 무릎 꿇기, 쪼그려 앉기
2-2. 부자연 스런 자세로 작업시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을 가중 시키는 요인
- 관절이 중립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 근육이 더 많은 힘을 사용할수록
- 부자연스런 자세에 노출되는 횟수 및 시간이 길어질수록
3. 과도한 힘의 사용
힘은 물건을 들거나 특정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근육 활동의 양을 의미 합니다. 특정 작업에서는 특정 부위의 근육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할 때가 있는데, 이러한 작업은 근육, 건, 관절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3-1 과도한 힘을 사용한 작업 유형
- 바닥에서 물건 들기
- 상자에서 물건 꺼내기
- 중량물 대차 끌기
- 중량물 운반하기
- 쥐기 어려운 형태의 물건 들기
3-2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 작업시 위험성을 가중 시키는 요인
- 자세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날수록
- 동작의 반복 횟수/속도가 증가될수록
- 과도한 힘을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4. 예방방법
4-1. 반복동작의 예방 방법
- 직무확대 또는 직무순환을 통해 동일한 신체부위 사용 빈도 줄이기
- 작업자 스스로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의 유연성 확보
- 조작해야 하는 작업량 줄이기
- 짧고 잦은 휴식 제공(micro-breaks)
- 양손 번갈아 사용하기
4-2. 부자연 스런 자세의 예방 방법
- 도구/물건/작업표면(work surface)의 높이를 작업자 신체에 맞추어 조정
- 각도 조절 테이블(tilt table), 회전 테이블(turn table) 사용
- 선반 높이는 무릎과 어깨사이로 제한하고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적절한 높이에 위치
- 도구의 손잡이에 추가로 길이 연장
- 리프트 테이블, 비계, 작업발판 사용
- 높이 조절 의자 제공
- 깊이가 깊은 적재함에 이중바닥(false bottoms) 설치 또는 적재함 깊이 줄이기
- 올바른 작업자세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 확보
- 자가높이조절(self-leveling) 테이블 사용
- 서랍형 선반(pull out shelves) 사용
- 자세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작업대 사용
- 허리를 앞으로 굽히는 자세를 유도하게 하는 장애물 제거
-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설비 설치
- 작업자의 신체에 물건을 가깝게 유지하여 취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앞치마 등의 보호구 착용
- 올바른 들기 자세 교육(몸에 가까이)
- 허리를 옆으로 굽히는 자세를 유도하게 하는 장애물 제거
4-3. 곽도한 힘 예방방법
- 도구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또는 에어발란스 사용
- 도구/물건 등 적재 시 롤러선반 사용
- 도구/물건의 무게 경량화 및 크기 줄이기
- 올바른 손잡이 설치(수공구 또는 박스 등)
- 작업자와 중량물 사이에 장애물 제거
- 중량물 취급 수직거리(시작점과 종점) 최소화
- 앉은 상태에서 취급하는 중량물은 4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가급적 들기보다는 내리기 작업이 되도록 작업 설계(중력 이용을 위해)
-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 치우치는 중량물은 가장 무거운 쪽이 작업자와 가깝게 취급
- 인력에 의한 중량물 취급 대신 호이스트, 지게차, 대차, 컨베이어 등의 사용
- 한 손 사용 보다는 두 손 사용하고, 2인 1조 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중량물 취급
- 대차의 손잡이는 수직형 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손의 높이는 어깨와 허리 사이)
- 대차의 바퀴는 가급적 크게, 바닥 상태에 적합한 재질로 설치
- 대차를 당기는 동작보다는 밀기 동작 수행
- 대차의 바퀴는 최상의 상태를 유지
위의 내용들을 숙지하시어 직장 또는 가정에서 근골격 질환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의료 개선_중증환자 1시간에 진료 가능 (0) | 2023.04.17 |
---|---|
암 환자 의료비 지원 방법 및 필요 서류 (0) | 2023.04.11 |
장기 요양보험 등급 및 신청 절차_재가급여/시설급여 (0) | 2023.04.10 |
정당한 이직 사유로 인한 실업급여(구직급여)수급요건 및 지급액 (0) | 2023.04.09 |
긴급 복지 지원 제도_위기 상황으로 생활이 곤란 할 때 신청하세요! (0) | 2023.04.07 |
댓글